쓰나미 지질학-쓰나미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쓰나미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쓰나미는 해저의 갑작스런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큰 파도입니다.
이러한 갑작스런 움직임은 지진 , 강력한 화산 폭발 또는 수중 산사태 일 수 있습니다.
큰 운석 의 영향 도 쓰나미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쓰나미는 넓은 바다를
빠른 속도로 횡단하며 얕은 해안선에서 치명적인 파도를 형성합니다.
쓰나미
USGS의 쓰나미 생성 이미지.
Subduction Zone은 잠재적인 쓰나미 위치입니다.
대부분 쓰나미가 지진 발생에 의해 야기되는 침강 영역 ,
대양 판으로 외피 아래로 강제되는 영역 판 지각 힘. 서브 덕팅
플레이트와 오버라이드 플레이트 사이의 마찰은 엄청납니다. 이
마찰은 느리고 꾸준한 섭입 률을 방지하고 대신 두 개의 판이 "고착"됩니다.
쓰나미 지질학
축적 된 지진 에너지
고정된 플레이트가 맨틀로 계속 내려가면 모션으로 인해
오버라이드 플레이트가 느리게 왜곡됩니다. 그 결과 압축된 스프링에
저장된 에너지와 매우 유사한 에너지가 축적됩니다. 에너지는 수십 년 또는
수세기에 걸쳐 최우선 판에 축적 될 수 있습니다.
지진이 쓰나미를 시작합니다지진으로 쓰나미 발생
에너지는 두 개의 고정 된 플레이트 사이의 마찰력을 초과할 때까지
오버라이드 플레이트에 축적됩니다. 이 경우 오버라이드
플레이트가 구속되지 않은 위치로 다시 스냅됩니다.
이 갑작스런 움직임은 쓰나미의 원인이 됩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위에 있는 물에 엄청난 밀림을 주기 때문입니다. 동시에 오버라이드 플레이트의
내륙 지역이 갑자기 낮아집니다.
쓰나미 파도 확산진원지에서 멀리 떨어진 쓰나미 경주
움직이는 파도는 지진이 발생한 곳에서 나가기 시작합니다.
물의 일부는 바다 유역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동시에 최근에 낮아진
해안선을 침수하기 위해 물이 육지로 돌진합니다.
쓰나미 여행 시간지도츠나 미스가 해역을 빠르게 횡단하다
쓰나미는 넓은 바다를 빠르게 횡단합니다. 이 페이지의 지도는
1960 년 칠레 해안을 따라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발생한 쓰나미 가 태평양을 가로질러
약 15 시간 만에 하와이에, 일본에 24 시간 이내에 도달 한 방법을 보여줍니다 .
쓰나미 파도 열차
위에 표시된 모든 이미지는 USGS의 것입니다.
쓰나미 "파도 열차"
많은 사람들이 쓰나미가 단일 파도라는 잘못된 믿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대신 쓰나미는 여러 파도로 구성된 "파도 열차"입니다.
이 페이지의 차트는 1960 년 칠레 지진 당시부터 일본오나가와의 갯벌 게이지 기록입니다.
시간은 가로축을 따라 표시되고 수위는 세로축에 표시됩니다.
이 기록의 초기 부분에서 조수로 인한 해수면의 정상적인 상승과 하강에 주목하십시오.
그런 다음 정상보다 약간 더 큰 몇 개의 파동과 몇 개의 훨씬 더 큰 파동이 기록됩니다.
많은 쓰나미 사건에서 해안선은 반복되는 큰 파도에 의해 두들겨집니다.
쓰나미가 위협적인 이유는 지진으로 해저에서 단층이 생성되어
순간적으로 수십cm 정도의 지형만 변해도, 그만큼 밀려 올라간
물기둥의 무게가 100% 위치에너지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때문에 단층의 높이가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수심이 깊은 곳에서 발생하는 해저지진일수록 쓰나미의 에너지가 커지게 된다.
대략 물 1세제곱미터가 1톤이니 몇 킬로미터에 걸쳐 단 몇 센티미터의 고저차가
순간적으로 발생해도 수십 억에서 수조 톤에 달하는 물체의 위치에너지가 된다.
그리고 염류가 녹아있는 바닷물이라 실제론 순수한 물보다 좀 더 무거우므로
위치에너지는 이 단순한 계산보다 더욱 커질 것이다.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상상하면
에베레스트 산 전체를 1미터 위로 들어 올렸다가 쿵 떨어뜨리는 것과 비슷하다.
순간적으로 들려 올려진 물기둥은 당연히 중력에 따라 아래로 떨어진다. 그러면서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전환되고, 이 어마어마한 운동에너지가 다시 위치에너지로
전환되면서 주위의 물이 밀어올려진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파동이 전파되는데 바람에
의한 파도와는 근본적으로 내재된 에너지(관성)의 단위가 천문학적으로 다른 것이기에
단 1미터의 높이의 쓰나미라 할지라도 해안선 안쪽으로 거침없이 죽죽 밀고
들어가면서 진로상의 모든 것을 파괴한다. 2004년 12월 동남아시아 지진의
해일은 1제곱미터의 면적당 5톤 전후의 압력이 측정되었다.
물이라는 매질의 특성상 걸리적거리는 지상에서 물이 차는 속도에 비해
먼바다에서의 쓰나미는 매우 빠르게 전파된다. 대양의 평균 수심인 4000m에서는
시속 700km에 달한다. 보통 민항기의 속도가 순항 고도에서 800~1000km/h 정도 나온다.
땅에 붙은 채 시속 700km로 가는 것은 인공물 중에서도 드물다.
그러나 이는 이론상으로 수심이 깊은 원양에서의 속도이며,
이때의 파도는 0.3~1m 정도로 자기가 탄 배 바로 밑을 지나도 쓰나미인지
인지하기 힘들 정도다.
그리고 그런 먼바다에서는 수중에서도 약한 편이어서
2004년 남아시아 지진해일 당시에 어느 사람은 스쿠버다이빙을 하는데
갑자기 해류가 거세서 잠깐 밀려가다가 잠잠해져서 떠올라서 배에 타고서
숙소로 돌아가려고 했더니 숙소가 있는 섬이 지진해일에 쑥대밭이 되어서 놀랐던 사례도 있다.
사례집. 일본에선 어부들이 배를 타고 고기 잡으러 갔을 때 바다는 어느 때보다
고요했지만 돌아오니 마을이 쓰나미에 휩쓸려 사라졌다는 이야기가 괴담처럼 전해지고
있는데, 위의 사례를 보면 알 수 있듯이 괴담이 아니라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이렇듯 초속이 수백 m에 달하며 파장이 200km에 달하는 반면, 파도는 몇십 cm,
커 봐야 1m 정도 밖에 안 되기에 특수한 관측장비 없이 원양에서 눈치채기는 어려울 것이다.